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제철음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by 오지라퍼 싼메이 2024. 1. 5.
728x90

지난 블로그에서 겨울에 좋은 음식 "굴"에 대해서 써봤는데요. 굴을 못 드시는 분들도 계시니 겨울철 제철음식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요즘 물가도 많이 올랐으니 저렴한 비용으로 건강까지 챙긴다면 더더욱 좋겠죠? 추운 겨울날 섭취하면 좋은 제철음식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홍합

추운 겨울 따듯한 국물이 최고지요? 뽀얀 국물에 담백한 맛까지 있는 홍합탕은 시원한 맛이 있어 속을 풀어주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영양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홍합을 소개합니다~

  • 구입요령 : 살이 통통하고 껍질이 윤기가 나며 비린내가 나지 않는 것이 신선합니다. 살이 붉은빛이 도는 것을 고르는 게 좋습니다.
  • 영양소 : 철, 비타민 A, B2, 칼슘, 인이 풍부하며 열량과 지방 함량이 낮아 다이어트 시 단백질 공급에 좋습니다.
  • 보관온도 : 0 ~ 5℃
  • 보관법 : 소금물에 헹궈 냉동 보관하거나 살짝 데친 후 냉장고에 넣어두면 1~2일은 보관할 수 있습니다.
  • 손질법 : 껍질을 깨끗이 문질러 씻어주고 지저분한 것이 붙어 있으면 떼어줍니다. 가장자리 검은 수염은 잡아당겨 잘라줍니다. 내장을 제거할 때는 조리용 가위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요리법 : 국, 찌개, 찜이나 샐러드에 재료로 쓰이기도 하며 유럽에서는 수프, 찜으로도 즐깁니다.

2. 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서 김과 미역을 한국의 슈퍼 푸드라고 소개를 한 적이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김은 일반 해조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놓은 고단백 식품입니다.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는 타우린도 풍부하여 숙취해도 좋은데요, 10월 말부터 제철인 김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구입요령 : 청록색의 고운 빛으로 변하는 것이 좋은 김입니다. 또 조금 잘라 물에 넣었을 대 흐물흐물하게 녹아내리고 물이 맑은 것 또한 좋습니다.
  • 영양소 :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해 노화를 방지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며 면역력을 향상하는 슈퍼 푸드입니다.
  • 보관법 :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하며 키친타월이나 한지를 바닥에 깐 다음 눕혀서 보관해야 합니다. 김은 지방 함량이 없어 기름을 발라 먹으면 좋으나 기름 바른 김을 오래 두면 산패되니 바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요리법 : 마른 김을 약한 불에 살짝 구워 양념간장과 함께 먹거나 들기름 또는 참기름, 소금을 발라 구워서 밑반찬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3. 시래기

겨울에 모자라기 쉬운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소가 골고루 들어가 있어 건강에 좋은 시래기! 웰빙식품 시래기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참! 우거지와 시래기를 혼동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시래기는 무청을 말린 것이고 우거지는 배춧잎을 말린 것이니 헷갈리지 마세요^ ^

  • 구입요령 : 싱싱한 무에서 나온 무청을 말린 것이 좋은 시래기입니다. 줄기가 연하고 푸른빛을 띠며 잎이 연한 것이 좋습니다.
  • 영양소 : 철분이 많아 빈혈에 좋고 칼슘 및 식이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며 동맥경화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 보관법 : 소금물에 살짝 데쳐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걸어 그늘에 말려야 비타민 손실이 적습니다. 데친 시래기는 냉동 보관하거나 그늘에 말려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합니다.
  • 요리법 : 말린 무청은 된장국, 나물무침, 조림, 죽 등을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4. 무

한국인에게서 없어서는 안 되는 채소 중 하나인 무는 김치뿐만 아니라 나물, 국, 조림, 밥 등 다양한 메뉴에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소화에 도움이 크고 감기 예방 및 숙취 해소, 항암 효과, 다이어트 등에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대표 야채입니다.

  • 구입요령 : 하얗게 윤기가 있고 단단하며, 매끈하고 상처가 없는 것이어야 하며 무청이 초록색을 때는 것이 싱싱한 무입니다.
  • 영양소 :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무에 함유된 메틸메르캅탄 분은 감기 균 억제 기능이 있어 감기 예방에 좋습니다.
  • 보관법 : 오랜 시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4~5℃의 냉장 온도가 적당합니다. 잎을 잘라내고 흙이 묻는 상태로 종이에 싼 후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합니다.
  • 요리법 : 모든 요리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무밥, 소고기 뭇국, 무나물, 무생채, 무쌈, 무말랭이, 찜, 김치 등 어느 음식과 잘 어울리는 재료입니다.

오늘 겨울 제철음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생각보다 우리 가까이 늘 함께 하는 재료들이지 않으세요? 이제는 눈에 보이면 더 챙겨 먹어야겠죠?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겨울 제철 "굴" 요리법 알아보기

제철음식이 보약을 먹는 것보다 몸에 좋다는 얘기 들어보셨나요? 겨울이 되었을 때 가장 생각나는 제철 음식은 어떤 게 있으세요? 저는 일 년을 대비하는 김장철을 맞이하면서 돼지고기 보쌈과

t1.sshanmei.com

728x90